한 서버에 EP 사이트 여러 개 설치하기

Posted by Alvin You
2015. 1. 6. 00:36 Dynamics AX

Dynamics AX의 Enterprise Portal을 Single Server 환경에서 여러 개를 띄워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개발환경과 QA 환경이 하나의 서버에 존재해야 한다면 이런 구성이 필수적이겠죠.

1. 두번째 Enterprise Portal 설치를 위해 Sharepoint Central Administration에서 새로운 웹 응용프로그램을 만듭니다. 여기에서는 8082 포트를 이용한 두번째 웹 응용프로그램을 만듭니다.

 

2. EP2(Enterprise Portal2)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웹 응용프로그램에 Dynamics AX Setup 프로그램을 이용해 EP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된 후 AX의 Administration of Web Sites를 통해 확인해 보면 아래와 같이 2개의 사이트가 등록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 EP2의 Internal URL을 복사해 두번째 AOS Instance의 Administration of Web Sites에 등록시켜 줍니다.

아직까지는 EP2가 바라보는 AOS Instance는 첫번째 AOS를 바라보고 있으며, 아래 마지막 단계를 통해서 EP2가 바라보는 AOS를 두번째를 바라보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4. C:\inetpub\wwwroot\wss\VirtualDirectories\8082 경로의 Web.config를 열어 아래 내용을 </system.web> 섹션 하단에 추가해 줍니다.

<Microsoft.Dynamics>

    <Session Configuration="\\<server_name>\<path>\<configuration_file>.axc" />

</Microsoft.Dynamics>

 

5. 두번째 AOS의 System administration > Setup > System > System service accounts 에 들어가 첫번째 AOS와 동일한 Business connector proxy 계정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6.마지막으로 첫번째 AOS Instance에 들어가 EP2 사이트 정보를 삭제해 줍니다.

 

참고 URL :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hh328926.aspx

VS(Visual Studio) and TFS support in AX 2012 R3 CU8

Posted by Alvin You
2015. 1. 1. 22:28 Dynamics AX

MS Dynamics AX 2012 R3 CU8부터는 Visual Studio 2013만이 지원 된다고 합니다. MS에서 R3 CU8을 통해서 완성도 있는 .NET 통합작업이 어느 정도 마무리 된 듯 합니다.

 

MS의 대표적인 Version Control 시스템인 TFS(Team Foundation Server) 지원은 TFS 2010, TFS 2012, TFS 2013 그리고 TFS online에 대해서 지원이 가능하지만,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TFS 2010 object model Sp1” 이 설치되어 있어야 됩니다.

 

자세한 시스템 사항은 http://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11094 참고하시면 됩니다.

Visual Studio 2010이 사용중인 컴퓨터에서는 hotfix KB 2662296(http://support.microsoft.com/kb/2662296)이 설치되어 있어야 TF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0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TFS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TFS 2010 SP1 Object Model (https://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a37e19fb-3052-4fc9-bef7-4a4682069a75) 이 설치되어 있어야 접속이 가능합니다.

 

.NET 프로젝트와 같이 체계적인 Version Control 환경에서 AX 프로젝트가 가능해지길 바라며, 2015년 꿈꾸는 모든 일들 다들 이루시며 대박나세요.

 

POP SYSTEM 개요

Posted by Alvin You
2014. 12. 29. 02:50 POP System

POP System 개요

1. POP System의 탄생과 기능

정보 시스템의 발전은 ERP라는 이름으로 경영 관리, 회계, 인사/급여 시스템등에 우선 도입되어 왔는데, 20년 전부터는 시장정보, 구매, 제품개발과 생산시스템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MRP기법이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MRP를 포함한 제조시스템은 계획위주로 현장의 정보를 살리지 못한 체 구축되어져 왔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장의 과거정보를 관리하는 조업일보나 작업일지를 사용하지 않고,직접 기계,작업자 등등 현장정보의 근원으로부터 자동 수집/분석/처리/지원하는 생산시점관리(POP)시스템이 등장하였습니다.

POP는 POS(Point Of Sale)에 착안하여 사용한 용어로서 제조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 수집기능만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장정보의 UPLOAD기능 뿐만이 아니라 작업지시와 그 작업에 따른 제어조작이나 제어프로그램을 DOWNLOAD하는 기능이 POP시스템에 필요 불가결한 요소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POP시스템은 부품의 가공상태,기계설비의 가동상태,작업자의 근무상황 등 생산현장의 정보와 상위시스템의 수주정보,생산기술정보,계획정보를 원활히 연결하는 생산정보의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하고 생산정보를 적시에 공급하여 효율적인 생산이 되도록 합니다.

최근에는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관리 및 제조 과정의 이력 및 불량품에 대한 추적관리등 다양한 방면의 POP 시스템들이 구축되어 제조 현장에 도움을 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기아 자동차의 SQ Mark에 대한 내용을 읽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79616&cid=50305&categoryId=50305

2. 기본 개념(SCM과 연동시)

3. ERP 시스템의 한계와 극복

본 시스템은 경영정보시스템(MIS,ERP)에 POP (Point Of Production) System을 추가하면서, 이차원(2D) Barcode 장비와 Sensor등을 현장 설비 및 이동용 장비에 부착하여 현장의 Data를 자동수집하고, 이를 현장 및 사무실 그리고 원격지에서 인터넷 및 Mobile Phone을 이용하여 현장에서발생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신개념의 Solution입니다.

최근 ERP시스템들은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데이터의 분석 및 연동을 통해 새로운 분석 자료를 만들어 내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CIO는 ERP와 공장 시스템을 연결해야 하며, 이 작업을 두려워해서는 안 됩니다.

ERP 시스템의 한계는 기존의 MRP시스템을 근간으로 하고 있지만 현실적인 생산관리를 위한 시스템이 아닌 회계 지향적인 시스템이라는 데 한계점이 있습니다. 즉, 현장 중심이 아닌 본사나 관리부서 중심의 시스템이 가장 큰 한계입니다. 현장의 실시간의 정보를 위로 올려주기에는 지금까지 현실적으로 많은 한계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ERP시스템의 고민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POP System의 도입입니다.

4. 생산시점정보관리(POP) 주요 프로그램

⑴ 생산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프로그램

▶가동/비가동 현황:현재시점의 각 라인별 가동 및 비가동 상황을 보여준다.

▶생산실적현황:각 라인별 계획대비 실적에 대한 현황과 전체현황을 보여준다.

▶재고현황:각 라인에서 생산된 제품의 재고와 출하대기 재고를 함께 보여준다.

▶제품별 표준자료 관리:제품코드,라인별 설비코드,제품별 자재소요 등의 자료를 관리하여, 생산성 분석을 위한 표준으로 관리한다.

⑵ 물류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투입현황:각 라인별 자재 또는 반제품 투입현황을 보여준다.

▶소요현황:표준자료에 의한 실적처리로 소요내역을 보여준다.

▶재공현황:투입대비 실적처리에 의한 재공수량을 계산하여 재고실사를 대비한다.

▶입고현황:자재,반제품,외주가공에 대한 수입검사 현황을 보여준다.

⑶ 품질관리

▶ 수입검사

    수입/출하 검사시, 검사성적서를 포함하여 불량거래처,불량항목 등의 보고서 및 불량률 추이도,각종 검사에 관한 보고서 등을 통하여 명확한 판단기준을 세워, 외주거래처의 수입 불량발생 상황을 불량률 추이도 등을 통하여 외주처의 불량개선효과를 높여 품질향상 효과를 높인다.

▶ 공정검사

생산 실적 등록 시 처리되는 자료에 의하여 구분된 이상상황 발생에 관한 공정 검사일보 등을 통하여, 품질에 관한 여러 특성치가 보고서, 집계표 및 그래프 등으로 공정의 흐름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다.

⑷ 기존업무 연계처리

현행업무와 POP System DATA 연동을 위하여 생산실적,영업 출하,자재 입고 등의 DATA 입력부문과 EIS 관련 부문에 대한 정보처리